대구 관덕정 도심속 가톨릭 성지순례지

2020. 1. 19. 14:21구석구석 둘러보기

반응형

대구 가톨릭 성지순례지인 대구 관덕정 순교기념관을 다녀왔습니다.  대구 관덕정은 조선시대 가톨릭 신자들이 순교된 장소에 세워진 순교기념관입니다. 대구의 유명한 천주교 성지순례지로 대구뿐만 아니라 각지에서 방문하는 곳으로, 특히 예비신자의 성지순례지 필수 장소로 정해지는 의미 깊은 장소입니다. 지하 1층 경당에는 정기, 비정기적으로 미사가 행해지고 있어 미사 참례 할 수 있고, 미사가 없을 때는 기도할 수도 있습니다.  2층(사료전시실, 인형전시실) 3층(교구전시실) 본관 위 단청문양 누각까지 둘러볼 수 있습니다. 로비층 바로 옆에 쉼터가 있어 셀프로 커피를 마실 수도 있고 이야기 나누며 쉴 수 있습니다.

대구 관덕정 순교기념관

대구 관덕정 유래

대구 관덕정은 조선 영조때 경상 관찰사가 군사훈련을 감독하고 무과 시험을 치르던 곳으로 대구읍성 남문 밖에 있었습니다. 관덕정 앞마당에 자리한 연병장에서는 무과를 위한 활쏘기와 말타기, 세시 민속놀이인 줄다리기도 행해졌습니다. 현재의 대구 관덕정은 원래 중죄인들을 처형하던 장소였는데, 1815년부터 1868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천주교 신자들이 경상감영에서 옥고를 치른 후 이곳에서 순교하였습니다. 당시 중죄인으로 취급됐던 천주교인들은 박해 때마다 이곳에서 온갖 참혹한 방법으로 처형되었습니다.

 

대구 성지순례지 관덕정 순교기념관 벽화

 

한국 천주교 200주년을 맞아 대구대교구의 신자들이 정성을 모아 기념관의 대지를 마련한 후 1985년 9월 20일 착공하여 1991년 1월 20일에 완공했습니다. 1867년 1월 21일 이곳에서 순교하신 이윤일 요한 성인의 유해를 여기에 모셔왔고,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시복 된 관덕정 참수 순교자들과 경상감영의 옥사자들의 영정도 함께 모셔왔습니다. 

 

대구 관덕정 지하 1층 성당(경당)

대구 관덕정 건물구조

본관 안 지하1층 성당에는 미사를 봉헌하는 장소로, 미사 없을 때는 신자들이 묵상하고 기도하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성당 제대 안에는 이윤일 요한의 유해가 모셔져 있고, 성당 옆 유해 현시실에는 여러 성인들의 유해를 모셔놨습니다. 

 

기념관 1층 로비에는 조선시대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 성모자상, 스테인드글라스가 있습니다.

2층 사료전시실에는 대구의 순교자들과 관련된 자료와 유물과 관련 책자를 볼 수 있고, 인형전시실에는 천주교 도입과 박해 순교의 현장을 인형으로 재현해놨습니다.

3층은 교구전시실로 드망즈 주교의 말씀이 걸려있고, 대구대교구의 역사를 알 수 있습니다.

본관 위의 단청문양 누각에는 예수님이 십자가 지신 모습, 비둘기(성령을 상징), 포도 등 가톨릭의 여러 상징들이 어우러져 있습니다. 누각에서 반월당 쪽으로 바라보면 탁 트여 있어 전망이 좋습니다.

 

대구 관덕정 누각과 쉼터 (휴게실)

대구 관덕정의 의의

순교자들과 관련된 다양한 사료들을 전시한 본 기념관을 통하여 오늘을 사는 우리와 미래의 후손들이 순교자들의 삶을 체득하고 계승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합니다. (출처 : 대구 관덕정 홈페이지)

신앙을 위하여 자신의 생활, 삶, 목숨까지 내놓을 수 있었던 순교자들의 순교정신에 힘입어 오늘날 가톨릭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오늘날의 삶에서 일반 신자들의 경우 신앙이 삶의 모든 것이 될 수는 없지만, 신앙으로 인하여 위안을 얻고, 삶이 풍성해지기를 기원해봅니다.

 

대구 성지 순례지 관덕정

대구 관덕정 관람시간 (개방시간)

대구 관덕정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순례할 수 있습니다

대구 관덕정 휴관일

매주 월요일, 부활절 당일, 성탄절 당일, 설 연휴, 추석 연휴 

 

대구 관덕정 성당 미사시간

화요일 : 10시

수요일 : 15시

목요일 : 10시

금요일 : 15시 (순교자 현양미사)

토요일 : 17시 (주일미사)

매월 첫째 토요일은 후원회원을 위한 미사를 봉헌합니다.

 

고해성사 : 매 미사 30분 전부터 고해성사를 집전합니다.

주일에는 미사가 없습니다.

(위 정보는 2020년 1월 19일 기준 정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