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3분기 7월 8월 9월 원달러환율 코스닥 코스피 전망 (E트렌드)

2023. 7. 26. 19:28재테크정보

반응형

23년 3분기 7월 8월 9월 원달러환율 전망, 코스피 전망, 코스닥 전망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유튜브 E트렌드 대신증권 이경민 팀장님과 메이크잇 강흥보 대표님의 방송을 보고 정리한 내용으로 글로 표현하면서 개인의 해석이 포함될 수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유튜브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방송링크는 페이지 하단에 있습니다.

 

[글 게시 순서]

1. 23년 3분기 코스피 코스닥 전망

  • 이경민 팀장 23년 3분기 7월 8월 9월 코스피 전망
  • 강흥보 대표 23년 3분기 7월 8월 9월 코스피 전망
  • 이경민 팀장 23년 3분기 코스닥 전망

 

2. 23년 8월 코스피  2800까지 올라갈까?

3. 23년 하반기 중국지수 전망

4. 23년 하반기~ 내년 원달러환율 전망


1. 23년 3분기 7월 8월 9월 코스피 코스닥 전망

[이경민 팀장 23년 3분기 코스피 전망]

  • 올여름에는 지수 좀 뜨거울 거 같음. 3000까지 올라가는 건 힘들 거라고 전망
  • 수급으로 너무 쏠림 현상이 심함.
  • 외국인들의 현물시장 두달 사고 한 달 파는 패턴 보임, 현재 외국인 현물시장 매집은 바닥권이라 시장이 흔들려도 외국인이 매도를 많이 하지 않음.
  • 외국인 선물로 급격한 변화를 줌 (과매수권 => 급격하게 내려서 과매도권, 과매도권=> 급격하게 올려서 과매수권) : 8천억~1조 단위로 시장을 어지럽게 만듦
  • 경기흐름, 이익흐름 같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단단한 중심축이 살아 있으므로 시장이 급격하게 꺾이거나 망가질 경우는 나오지 않습니다.
  • 2800까지 움직일 힘은 아직 남아 있다고 봅니다.
  • 이번주는 2600을 중심으로 왔다갔다하면서 좀 쉬어갈 거 같습니다.
  • 7월말 FOMC, 8월초 한국 수출과 각종 지표 등 확인할 게 많아서 이번주와 다음주는 등락이 많을 거 같습니다.
  • 등락이 있더라도 시장이 무너지고 깨지고 2500을 깨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 9월 FOMC가 변곡점이 될거 같습니다. (쉬어가거나 단기 급락이 나올 수 있음)
  • 9월 중순이후에는 3분기 실적시즌이 시작되고, 9월 FOMC에서 어떤 결정을 할 것인가에 따라 변동 예상합니다.

 

왼쪽 현물 외국인 누적 순매수 / 오른쪽 선물


[강흥보 대표 23년 3분기 코스피 전망]

한편으로 2650 레인지가 생각보다 빠르게 올라와서  미스터마켓이 7~8월 2800까지 올라가지 않고 휘청거리게 하려나 2500 테스트가 나올려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주는 쉬어가는 구간으로 봅니다.

추석 전후로는 조정이 좀 있을 거 같습니다.

 

주포들도 옵션포지션을 2550 정도까지는 열어뒀지만 그 밑으로는 아닙니다.

한편으로는 상방으로는 2650을 강하게 돌파하는건 8월 옵션만기일까지는 막아둔 상황입니다.

9월 옵션만기일을 향하는 흐름은 2700을 훌쩍 넘는 흐름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경민 팀장님 23년 3분기 코스닥 전망]

코스닥은 2차 전지 쏠림현상이 심한데 2차 전지가 조정이 있으면, 다른 종목들이 바로 V자로 반등하는 게 아니라 바닥을 다진 후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23년 8월 코스피 전망 2800?

23년 7월 초 2500선 지지력을 확인했고, 이제 2800선을 향해 갈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그러나 바로 2800으로 올라가지 않고 아래 그래프처럼 등락이 있을 것이므로 트레이딩이 필요한 장이라고 봅니다.

 

 


 

 

 


3. 중국 지수 전망

중국 경기가 나쁘다기 보다는 빠르게 회복될 줄 알았는데 회복세가 좀 더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 2분기 GDP 성장률은 예상치 7.1%인데 실제로 6.3% 쇼크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6월 실물지표는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산업생산지표와 고정자산투자는 잘 나왔습니다.

산업생산지표 2.5로 예상했는데 4.4로 나왔고, 고정자산투자도 3.2 예상했는데 3.8이 나왔습니다.

과도했던 중국 경기에 대한 기대가 우려로 전환되면서 중국 경기부양정책 기대감이 커지고 있고, 향후 경제지표 쇼크 가능성보다 예상치 상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위안화가 일방적으로 약했던 부분이 진정되면서 원화에도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원화가 안정화되면 외국인 수급이 지수를 끌어주는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4. 23년 3분기 7월 8월 원달러환율 전망

강흥보 대표 원달러환율 전망

달러 강세가 살짝 보이지만 다시 달러가 약세로 되면서 원화 강세가 되고 지수는 올라가게 됩니다.

일시적인 달러 강세로 인해서 지수는 등락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경민 대표 원달러환율 전망

환율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경기, 통화정책 등에 따라 강세 or 약세가 정해집니다.

22년 유럽이 압도적으로 경기가 좋았던 흐름에서 올해 2분기에는 미국이 압도적으로 경기가 좋아졌습니다.

달러는 작년 강세 흐름에서 10월에 피크를 찍고 내려왔다가 현재 박스권에 있습니다.

미국과 유로존의 기준금리 격차가 22년에는 0.5 => 2까지 올라서 달러가 강세였습니다.

올해는 유로존도 금리를 올리면서 기준금리 격차가 2분기 1.25로 줄었고, 내년 1분기 1 => 2분기 0.55로 미국과 유로존의 기준금리가 비슷해 질거 같습니다. 

 

23년 3분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보다 유럽의 경기흐름이 좀 더 우위를 보일 겁니다.

기준금리 격차도 플랫하거나 떨어지는 흐름을 보일 겁니다.

등락은 있겠지만 내년까지 달러 약세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원화가 강세로 가는 이유

통계청 한국 경기선행지수는 바닥권에 와 있고, OECD 한국 경기선행지수는 이미 4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제조업경기는 마이너스 권이긴 하지만 폭을 줄이고 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라오고 있습니다.

제조업 재고는 꺾였고, 제조업 생산능력은 엄청 떨어졌었는데 이제 반등을 했습니다.

즉 제조업 경기는 바닥을 통과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기저효과 때문이기는 하지만 플러스 반등하려고 하고 있고, 승용차, 가전제품, 컴퓨터 등 내구재 중심으로 소매판매 회보고세가 가시화되고 있어 코스피 시장에 우호적일 전망입니다.

한국 수출은 1월을 저점으로 올라가고 있고, 반도체와 중국 수출은 올해 최고치로 올라왔습니다.

 

6월 한국 수출은 역성장 지속하고 있지만 수출 증가율은 -6%로 역성장 폭을 축소하고 있고, 7월 8월로 가면서 수출은 마이너스 폭을 줄이고 올라갈 것입니다.

 

제조업 바닥 통과, 경기선행지수 턴어라운드했고 여기다 수출증가율이 플러스 반전하게 되면 원화는 계속 강세로 갈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 방송을 보고 정리하면서 개인의 해석이 포함될 수 있고, 혹시 본글에 오류가 있더라도 책임지지 않으니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E트렌드 대신증권 이경민 팀장, 메이크잇 강흥보 대표

https://www.youtube.com/live/t9WeV-ECMyA?feature=share 

반응형